신년 기자회견, 학력신장과 책임교육 중심 10대 핵심과제 제시
[한스경제(전주)=이인호 기자] 서거석 전북도교육감이 “지난해 이어 올해도 학력신장을 과감하게 추진하고 공교육의 책무성을 확실히 높이겠다”고 신년 포부를 밝혔다.
서거석 교육감은 7일 도교육청 강당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전북교육이 대한민국 교육의 중심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온 정성을 다하겠다”면서 새해 집중적으로 추진하는 전북교육 정책 계획을 설명했다.
학력신장과 책임교육 중심의 10대 핵심과제도 제시했다.
학력신장은 △독서·인문교육 확대 △수업혁신 △교과학습 강화 △특성화고 취업 지원 확대 △진로·진학 지원 체계 강화 △교육활동 보호 강화 등 6가지를 핵심과제로 잡았다.
독서·인문교육은 학력의 기초인 문해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수업 혁신은 △개념 기반 탐구수업 △AI 디지털 활용 수업 △하이브리드 수업 등 교사들의 연구와 교류, 연수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추진해 전북 미래교육이 지향하는 ‘질문과 토론이 있는 교실’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을 구축해 초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관리하는 등 교과학습 강화에도 힘을 쏟는다.
특성화고와 기업을 매칭해 현장실습과 취업을 지원하는 ‘취업사관학교’와 ‘취업맞춤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취업 연계 현장실습에 더 많은 기업과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직종의 특성과 안전을 고려해 실습시간을 연장하는 등 제도개선에 나선다.
전주, 군산, 익산, 정읍, 남원, 완주에 거점형·권역별 진로·진학상담센터를 설치하고, 1000명의 전문직업인 진로멘토단을 꾸려 학생들의 진로 탐색을 지원하는 등 진로·진학 지원 체계도 강화한다.
교육활동 보호를 위해서는 교장 책임 민원대응체계가 잘 작동하는지 현장을 점검하고, 회복조정 지원단과 교원 치유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책임교육은 △ESG 실천 △특수교육 지원 강화 △다문화교육 지원 강화 △교육협력 등 4가지 핵심과제로 추진한다.
ESG 실천은 학교별 생태전환 프로젝트 운영, 연 4회 자원봉사의 날 운영, 일회용품 청내 반입 금지 등 다양한 실천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모두를 위한 교육인 특수교육과 다문화교육도 강화한다.
특수교육의 경우 특수교육 대상자의 학교 선택권 보장을 위해 인구 밀집도가 높은 지역의 중·고등학교에 40개의 특수학급을 추가 설치한다.
다문화교육 강화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부모 나라에 대한 긍지를 갖고 부모와 잘 소통할 수 있도록 한국어와 부모 나라 언어교육을 확대한다.
교육협력으로 기업, 대학, 공공기관과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교육의 한 주체인 학부모의 건강한 교육활동 참여를 지원한다.
서거석 교육감은 “전북교육청은 지난해 17개 시·도교육청 종합평가에서 2023년에 이어 연속 최우수교육청으로 선정됐다”며 “교육으로 희망을 주는 ‘전북교육 희망의 대전환’이 힘차게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 교육감은 이어 “학력신장과 책임교육을 정책 기조로 삼아 올해 10대 핵심과제를 선정했다”며 “학력신장과 함께 공교육의 책무성을 확실히 높여 취약계층 지원을 두텁게 하고, 누구도 교육에서 차별받고 소외되지 않도록 탄탄하고 촘촘하게 살피고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