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정보

ESG 정보

 

[1.5℃ HOW] 비트코인 채굴…‘디지털 금’인가, ‘탄소 괴수’인가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5-06-26 13:35:05 조회수 31

내용요약노르웨이, 전력 대규모 소모 채굴시설 전면 금지 예고
에너지 138TWh 소모·탄소 배출에도 ESG 부합 재조명 시각
전통금융 에너지 소모량의 4.5% 불과…균형 있는 시선 필요

이미지=pexels
이미지=pexels

[한스경제=전시현 기자] '전기 먹는 하마' 비트코인 채굴이 다시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논란의 중심에 섰다. 노르웨이 정부가 올해 가을부터 신규 암호화폐 채굴 데이터센터 설립을 잠정 금지하겠다고 발표하고서부터다.

 

저렴한 수력 발전 에너지를 바탕으로 유럽 내 암호화폐 채굴 허브 중 하나로 자리 잡아온 노르웨이는 최근 유럽 각국이 환경 보호와 에너지 안보를 이유로 채굴 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자 방향을 선회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라는 찬사와 동시에 ‘탄소 괴수’라는 비판을 받으며 기술 혁신과 환경 책임의 충돌이 다시 한 번 부각되는 분위기다.

 

◆ 절반 이상은 친환경 전기...채굴 산업의 반박 논리

24일 케임브리지 대안금융센터(CCAF)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에 사용되는 전체 전력 중 52.4%가 재생에너지(42.6%)와 원자력(9.8%) 등 친환경 에너지원에서 공급되고 있다. 하지만 전체 전력 소비량은 여전히 연간 138TWh에 달해, 전세계 전력 소비의 0.5%를 차지한다. 일부 환경 단체와 정책 당국은 이 같은 전력 집약적 구조가 지속 가능성에 반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동국대 박성준 블록체인연구센터장은 본지와 전화 인터뷰에서 “채굴에 사용되는 전기를 곧바로 환경 파괴로 규정하는 것은 기술 발전의 본질을 왜곡하는 시각”이라며 “오히려 전통 금융 시스템이 소비하는 물리적 자원과 에너지, 물류 인프라의 비효율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실제로 전통 금융 인프라, 즉 전 세계은행 지점과 ATM기, 서버 등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연간 약 100TWh로 추정되며 이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와 유사하거나 더 많다는 분석도 있다. CCAF와 국제에너지기구(IEA) 통계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탄소 배출량은 연간 약 39.8MtCO₂e으로 이는 전통 금융 시스템의 4.5%, 금 채굴 산업의 43% 수준에 불과하다.

이미지=pexels
이미지=pexels

◆ 추운 지방·잉여 전기 활용...친환경 채굴로 진화

박 센터장은 “비트코인을 제외한 대부분의 디지털 자산은 채굴 과정이 없거나 환경 이슈에서 자유롭다”며 “비트코인 역시 수년 전부터 풍력·수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채굴 방식을 전환해 왔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채굴 원가에서 전력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업계는 비용 절감과 ESG 대응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이에 대해 “냉각에 들어가는 전기까지 포함하면 추운 지방에서 채굴하는 것이 오히려 효율적”이라는 것이 박 센터장의 설명이다. 이어 “잉여 수력이 남는 지역에서는 그 전기를 활용해 친환경적으로 채굴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 북미 지역이 전 세계 채굴의 약 82.5%를 차지하는 것도 인프라와 재생에너지 접근성이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 전력망 안정화에 기여?...글로벌 시선도 달라진다

최근에는 ESG 관점에서 비트코인을 재조명하는 시도도 등장하고 있다. 2023년 글로벌 컨설팅사 KPMG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은 ESG 원칙에 부합할 수 있는 자산”이라며 “에너지 그리드 안정화, 탄소 배출 절감 등 긍정적인 파급 효과도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스위스 베른주 의회는 지난해 비트코인 채굴이 지역 전력망의 불균형을 조절하고, 재생에너지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독일 일부 산업단지에서는 태양광 패널, 배터리 저장 시스템, 비트코인 채굴기를 결합해 전력망 안정화와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실험도 진행 중이다.

캐나다 기반의 채굴 기업 하이브 디지털 테크놀로지스는 지난 3월 파라과이의 풍부한 수력자원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채굴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올해 3분기까지 전체 430MW 규모 채굴 시설을 100% 재생에너지 기반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과도한 규제가 오히려 환경에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지타운대학 연구팀은 “선진국의 채굴 규제가 강화될수록 석탄 중심의 저개발국으로 채굴 수요가 이동해 ‘탄소 누출(Carbon Leakage)’ 현상이 심화된다”고 경고했다.

박성준 센터장 역시 “비판 일변도의 시각은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 채 오히려 부작용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2021년 중국 정부가 비트코인 채굴을 전면 금지하자, 대규모 채굴업체들이 카자흐스탄 등 석탄 의존도가 높은 국가로 이동했고, 그 결과 글로벌 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증가한 바 있다.

이처럼 비트코인을 둘러싼 환경 논란은 단순한 ‘에너지 낭비’의 문제가 아닌, 에너지 구조와 경제 시스템 전체에 대한 질문으로 번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디지털 통화의 진화가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기술 혁신과 환경 책임 간의 균형, 그리고 국가 간 협조된 정책 체계가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