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녹색전환연구소·플랜1.5·KoSIF, 25일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 진행
기후투자공사 설립, ESG 기본법 제정, 기후퇴직연금 도입 등 제안
기후금융 10대 정책 제안서, 국정기획위·기후특위 등 각 상임위 전달 예정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기후위기 대응의 ‘골든타임’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한국의 경제·금융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을 담은 정책 제안이 나왔다.
민간 기후 싱크탱크인 녹색전환연구소·플랜 1.5·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등 3개 기관은 지난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관으로 기자회견을 열고, 새로 출범한 이재명 정부에 ‘기후금융 10대 정책’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기후대응 골든타임을 이재명 정부가 책임지게 됐다”며 “기후대응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경제와 금융의 문법부터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기후위기는 더는 환경 정책의 하위 영역이 아니라 ▲물가 ▲금융 안정 ▲자산건전성 ▲연금 수익률 ▲무역 경쟁력까지 위협하는 ‘거시경제 리스크’”라고 피력했다.
그러나 한국의 금융·법·제도·시장 구조는 기후위기와 대응에 준비가 덜 된 상황이다. 예컨대 일부 녹색금융 정책은 실제로는 화석연료 투자 확대나 정보 비공개 등 위장 환경주의(그린워싱)에 가까운 결과를 낳고 있다. 또 화석연료 중심의 대한민국 경제 체제 역시 요지부동인 상황이다.
이에 민간 기후 싱크탱크 3곳은 “기후금융의 역할을 경제 정책의 중심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기자회견 발언자로 나선 최기원 녹색전환연구소 경제전환팀 선임연구원은 “수백조 원의 돈이 석유와 가스에 투입되고, 태양광과 풍력으로 흘러가지 않는다면, ‘기후정부’가 되겠다는 의지는 구호에 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 선임연구원은 “이러한 제안들은 단순히 기후대응을 넘어 침체된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지속가능한 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새 정부가 담대한 기후 비전을 갖고 있는 만큼, 이를 실현하기 위해 이 제안들을 적극 검토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종오 KoSIF 사무국장은 “자본의 대이동이 없는 근본적인 경제적·사회적 변화는 없다”며 “공적금융과 민간금융 자본이 기후경제와 지속가능한 경제 활동에 대규모로 유입될 수 있는 환경과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구축해 나가지 않으면 우리들의 미래는 디스토피아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후 싱크탱크 3곳의 기후금융 10대 정책 제안은 철저하게 현실에 기반해 있기 때문에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며 “이재명 정부와 국회의 진지한 검토와 수용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한수연 플랜 1.5 정책활동가는 “대표적인 장기 투자 자산이자 총규모 420조원에 이르는 퇴직연금이 기후위험을 제대로 관리할 수 있도록 ‘근로자 퇴직급여 보장법’을 개정해야 한다”며 “이를 토앻 가입자들의 노후 자금이 기후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운용될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민간금융 전반의 기후 책임성을 높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병덕 의원은 “금융은 그동안 산업 정책을 단순히 지원하는 부수적인 역할로 인식돼 왔다. 하지만 금융은 이제 산업과 사회를 바꾸는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며 “3개의 기후 싱크탱크의 기후금융 10대 정책 제안은 그런 인식의 전환과 행동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10대 정책 제안 중 시급한 정책, 중장기적 정책, 입법이 필요한 정책, 정부의 의지만으로 충분히 가능한 정책 등으로 분류해 적시에 실현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의 노력을 경주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이번 기후금융 10대 정책 제안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 수립을 총괄하는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에 전달될 예정이다. 국회 차원에서는 ‘국회 ESG 포럼’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민병덕 의원을 통해 정무위원회와 기획재정위원회 그리고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위원장 등 관련 상임위에 공식적으로 전달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