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기존 별도 태양광 설비에서 탈피, 건물 외벽에 일체화
에너지 생산·외부 디자인 동시 충족, ZEB 확대 기여
| 한스경제=이성철 기자 | 제로에너지건축물(이하 ZEB) 인증제가 민간분야 공동주택까지 확대 시행되면서 재생에너지 관련 업계는 혁신적인 기술 개발 경쟁에 뛰고 들고 있다.
기존의 옥상 태양광 설비에서 벗어나 에너지 생산량을 높이는 동시에 세련된 외부 디자인을 추구하기 위한 업체들의 고민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지난 2020년부터 시행중인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따라 ZEB 인증제에서 요구하는 재생에너지 의무비율 달성을 위해 적용하는 기술은 계속해서 진화해 최근에는 건물일체형태양광시스템(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이하 BIP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지금까지의 태양광은 지붕 위 또는 빈 땅에 얹는 부가물에 가까웠다. 하지만 이제는 다르다. 건물 그 자체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가 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기존 태양광 모듈은 설치를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했지만 BIPV는 창호·벽체·지붕 등 건축자재에 태양광 모듈을 일체화시켜 활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생산'과 '건축 디자인'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있는 신기술이다.
이에 따라 국내 창호 및 커튼월 주요 기업들도 BIPV 모듈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BIPV를 건물 외장 복합패널은 물론 다양한 BIPV 제품들을 선보이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관련 업계는 BIPV 시장 규모가 오는 2030년까지 연간 18조원대에 달할 정도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뛰어난 미관의 BIPV 모듈은 건축, 도시계획, 환경디자인 등에서 도시의 이미지, 쾌적성, 생활의 질을 높이는 핵심 요소"라고 평가하면서 "에너지 생산성과 디자인 완성도를 동시에 충족하는 제품 공급을 통해 제로에너지 건축물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스마트그리드 전문기업 지투파워가 BIPV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지난 2010년 설립된 지투파워는 전력 기기 제조 및 AI 적용 배전반과 태양광 시스템, ESS 등을 주력 제품으로 하며 최근 원전용 배전반과 BIPV 등 신사업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지투파워는 특히 지난해 하반기 첨단 신기술(NET)을 적용한 BIPV의 조달우수제품 인증을 획득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관급 시장에 이어 민수 시장까지 수주 확대를 위한 공격적인 영업을 펼치고 있다.
지투파워는 이 분야에서 차별화된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고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일반 유리처럼 보이지만 햇빛을 전기로 바꾸는 스마트 창호 기술이 바로 그것이다.
유리일체형 BIPV 기술을 통해 외관 디자인과 채광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고효율 BIPV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다.
기존 제품들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건축 외장재에 요구되는 방수와 단열, 내화, 차음, 내진 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특수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안전면에서도 BIPV 태양광 패널선로의 DC아크 검출 및 분석기술을 적용해 태양광 설비에서 주로 발생하는 화재로부터 설비의 피해를 사전에 차단하고 예방하고 있다.
무엇보다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해 건축물의 디자인 미치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추구하면서 지붕형, 벽면형 BIPV를 개발해 증가하고 있는 민간 건축물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이밖에도 지투파워가 보유하고 있는 CMD(상태감시진단) 기반 기술을 적용해 BIPV와 수배전반 등 재생에너지 설비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지투파워는 앞으로 BIPV 시장 확장을 위해 생산·설계·시공·관리까지 전 주기 대응이 가능한 종합 플랫폼화를 추진중이다.
이는 단순한 태양광 패널 제조를 넘어 건축 설계 단계부터 참여해 에너지 효율 최적화를 위한 엔지니어링 컨설팅까지 제공하는 구조로 진화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여기에 자체 연구개발(R&D) 센터를 통한 모듈 경량화, 색상 다양화, 반투과 기술 고도화 등도 병행함으로써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각국의 다양한 건축 수요를 충족시킨다는 계획이다.
지투파워는태양광 부문 실적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태양광 관급 시장점유율도 지난 2023년 11위에서 2024년에는 5위로 상승했으며 올해에는 3위를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정부가 발주한 서울출입국·외국인청 청사 신축공사를 수주하면서 BIPV를 적용할 예정이다.
지투파워는 "단순 모듈 공급만으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시대"라며 "앞으로는 디자인, 구조물, 전력 관리, 시공까지 통합된 에너지 건축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